티스토리 뷰
2024년 5월부터 시행하는 한국형 K-패스 제도 !
기존 카드의 단점을 보완한 제도이며,
특히 신분당선, GTX, 광역버스 어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최대의 장점입니다.
오늘은 실제 K 패스 카드를 사용하여 할인받는 경우의 예를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제도 개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최소한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는데요.
1. 월 최소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 이용
- 14회 이용 시 환급 불가능
※ 최초 21회로 발표되었으나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15회로 줄임
2. 이용 계층에 따라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하여 다음 달에 환급 (선불출정식, 후불형 체크/신용카드 모두 이용 가능함)
3.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이용금액을 기준으로 적립
자료를 보면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3% 적립이 가능하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럼 각 상황에 맞는 환급 예시를 알아볼까요 ?
K-패스 카드 환급 예시
일단 본인이 어느 조건에 들어가는지 부터 알아봐야하겠습니다.
- 청년 : 만 19~34세
- 저소득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일반 : 청년 및 저소득 제외
1. 환급 받지 못하는 예시
- 청년 김모씨는 이번 달 14번 대중교통을 이용하였다. 총 이용금액은 30,000원이길래 김 모씨는 생각했다.
' 30% 할인이니까 다음달에 9,000원 환급받겠네 ! 스타벅스나 가야지 !'
하지만 다음 달이 되어도 환급금이 들어오지 않자 김모씨는 담당부서에 전화를 걸어 확인하였다.
그리고 알게 되었다.
" 케이패스는 최소 15회 이상 사용해야한다는 것을 !!!!"
2. 환급 금액 계산 예시 (60회 이하)
청년 김모씨와 일반인 박모씨, 그리고 저속득자 윤모씨는 우연히 매일 같은 지하철을 타고 각자의 생활터전으로 향한다.
오늘도 어김없이 같은 대중교통을 탄 세명
이번 달은 쉬는날도 똑같기에 세명 모두 교통비 조건이 동일하였다.
- 이용 횟수 : 55회
- 이용 금액 : 120,000원
이 때 각각 받는 환급액은 다음과 같다.
※ 청년 김모씨 : 36,000원 ( 120,000원 × 0.3 (30%) = 36,000원)
※ 일반 박모씨 : 24,000원 ( 120,000원 × 0.2 (20%) = 24,000원)
※ 저소득 윤모씨 : 63,600원 ( 120,000원 × 0.53 (53%) = 63,600원)
3. 환급 금액 계산 예시 (60회 이상)
일반인 박모씨는 이번 달 야근 및 주말 특근이 겹처 100회 대중교통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박모씨는 교통비 걱정이 들지 않았다.
왜냐 ?
'나에겐 케이패스가 있으니까 !'
- 이용 횟수 : 100회
- 이용 금액 : 300,000원
이 때 박모씨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총 이용금액이 30만원이니까 20프로 하면 6만원 환급받겠다 !! 집에서 소주랑 삼겹살이나 먹어야지 !!"
하지만 박모씨가 받는 금액은 과연 6만원일까 ?
정답은 3만6천원이다.
박모씨가 처음 계산한 것은 다음과 같다
※ 환급액 : 60,000원 ( 300,000원 × 0.2 (20%) = 60,000원)
하지만 박 모씨가 간과한 것이 있다.
바로 월 최대 60회까지만 적립가능하다는 사실!
즉, 박모씨의 환급액은 다음과 같다.
※ 환급액 : 36,000원 ( 180,000원 × 0.2 (20%) = 36,000원)
- 100번에 30만원이었으니 60번이면 18만원으로 계산하여야 함.
이렇 듯 환급금액에 대한 정의를 다시 확인하시고 카드를 신청 안할 이유아 없습니다. 꼭 다들 신청 및 발급하셔서 대중교통비 환급 잘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