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에서 국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며
특히 청년층에 대해서 많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정책이 있지만 ...
그래도 돈과 관련된 정책이면 더 관심이 있고 구미가 당기겠지요.
요즘 핫한 청년희망적금 !
오늘은 월 납입금 별 만기금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자격요건
일단 먼저 자격요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격이 돼야 혜택을 받겠죠..)
1. 나이요건
- 가입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사람
단, 「병적증명서」로 다음 각 목의 병역을 이행하였음이 증명되는 경우, 그 기간(최대 6년까지)을 가입일 현재 연령에서 빼고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인 경우 충족
가. 현역병, 상근예비역 및 의무경찰·의무소방원
나. 사회복무요원
다. 장교, 준사관 및 부사관
2. 소득요건
가입일 현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득요건(주1)을 충족하는 사람
가. 직전년도 총급여액이 3,600만원 이하
※ 직전 과세기간에 근로소득만 있거나 근로소득과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지 않는 종합소득이 있는 경우로 한정
나.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2,600만원 이하
※ 직전 과세기간에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고,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3,600만원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로 한정
3.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주2)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주3)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주 1: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함
주 2: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나머지 2개 과세기간을 기준으로 판단하되, 국세청 사후검증시 직전 연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면 은행에 가입 부적격 통지 즉시 해당 계좌는 납입중지(가입대상 미해당) 처리
주 3: 「소득세법」 제14조 제3항 제6호에 따른 소득의 합계액이 같은 호에 따른 이자소득 등의 종합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한 자
청년희망적금 혜택내용
일단 자격요건에 해당하시면 무조건 신청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
기본혜택이 무려 5% 이기 때문입니다 !
여기에 우대금리가 더해지는데 이는 은행에 따라 0.2 ~ 1% 까지 추가로 혜택이 주어집니다.
즉 기억하세요!
"청년희망적금 = 기본혜택금리 + 우대금리 + 저축장려금"
응 ? 근데 저축장려금은 뭐죠 ?
기본혜택에 우대금리를 받는데 저축장려금까지 준다고요 ??
적립기간 2년 중 1년차는 2%, 2년차는 4%의 추가 지원이 들어갑니다.
2년차라는 이야기가 나왔으니 상품내용에 대해 다시 알아보시죠.
월 납입금인 최대 50만원 한도이며, 적립기간 2년의 자유 적립식 적금입니다.
이쯤 되면 생각나시지 않겠습니까 ?
요즘 자산을 불리기 위한 방법(부동산, 코인, 주식 등등)은 많지만
기본 5%에 더해서 추가혜택까지 주는 적금 제도를 안 들 이유가 없겠죠?
그리고 이왕 들거면 50만원 꽉 채워야하지 않겠습니까 ?
시드는 진리입니다.
속된말로 시드는 깡패라고도 합니다.
아무리 이율이 높아도 시드가 적으면 그만큼 수익은 줄테니까요.
자격요건이 되신다면 무조건 50만원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청년희망적금 가입가능은행
온라인(비대면), 오프라인(대면)방식 모두 가능하다,
대다수 은행들이 대면 가입보다 비대면 가입 시 금리를 우대해 줍니다.
사실 은행은 금리도 중요하지만 각자 개인의 주거래은행이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사이트 방문하시고 우대금리 보시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요 우대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은행 : 최대 1%
- 신한은행 : 최대 1%
- 기업은행 : 0.9 %
- 하나은행 : 0.7 %
- 우리은행 : 0.7%
- NH농협은행 : 0.5%
청년저축계좌 신청하러 가기
국민은행 | 신한은행 | 기업은행 |
하나은행 | 우리은행 | 농협 |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계산
매달 금액별 만기금액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50만원씩 넣는것이 제일 좋겠지만
개인의 사정에 따라 다르니
- 매달 적금 금액 : 10, 20, 30, 40, 50 만원
- 이율 : 0%, 0.5% , 0.7%, 0.9%, 1%
에 따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매달 10만원 씩 적금할 경우
2. 매달 20만원 씩 적금할 경우
3. 매달 30만원 씩 적금할 경우
4. 매달 40만원 씩 적금할 경우
5. 매달 50만원 씩 적금할 경우
위 표를 참조하셔서 청년희망적금 자격요건이 되시면
무조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청년저축계좌 신청하러 가기
국민은행 | 신한은행 | 기업은행 |
하나은행 | 우리은행 | 농협 |